[2024-12-12] '로봇 모빌리티' 서울다이나믹스, 글로벌 시장 '노크' CES 2025 참가, 전시 준비 착수…PBV 솔루션 공급 논의 진행

조회수 364




자율주행이 가능한 무인 다목적 모빌리티 로봇을 만드는 서울다이나믹스가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항만·택배 운송, 물류 트랙터 등 산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목적기반모빌리티(PBV) 솔루션을 앞세워 해외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계획이다.

5일 벤처캐피탈(VC)업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다이나믹스는 내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 참가를 확정하고 전시 준비에 착수했다. CES는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박람회로, 서울다이나믹스로서는 첫 참가다. 회사는 자사 주력 제품인 200kW급 모빌리티 로봇 플랫폼 'E-CVP'을 선보일 계획이다.


...

(본문내용 하단 원문 링크 참고)


2022년 설립된 서울다이나믹스는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작업수행용 PBV 제품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자율·원격주행 전환 알고리즘과 자율주행 관제 소프트웨어(SW)를 접목해 차량간통신(V2X) 기술을 구현했다. 모듈화 설계를 통해 별도의 특수부품 설계나 제작 없이 현장 상황에 맞춰 호환이 가능하다.

서울다이나믹스는 모빌리티 용도별로 PBV 제품 라인업을 갖췄다. 회사 측에 따르면 무인운송차량(AGV)과 자율이동로봇(AMR)은 출력에 따라 10wK급(서빙로봇), 50wK급(무인 승객 셔틀), 200kW급(승용 전기차·중장비), 400kW급(무인 자율주행 트랙터) 등으로 구분된다. 회사는 10wK급, 50wK급, 200kW급 PBV 개발을 완료했다. 주력 제품은 200kW급 모빌리티 로봇 플랫폼 E-CVP다.


[Eng]

Seoul Dynamics, which makes unmanned multi-purpose mobility robots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is focusing its efforts on building global partnerships. It plans to enter overseas markets with purpose-based mobility (PBV) solutions that can be applied to industrial sites such as port, courier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tractors.


According to the venture capital industry on Wednesday, Seoul Dynamics has confirmed its participation in the CES 2025 held in Las Vegas and has begun preparations for the exhibition. CES is the world's largest consumer electron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IT) fair and is the first participation by Seoul Dynamics. The company plans to introduce its flagship 200kW mobility robot platform E-CVP.


Founded in 2022, Seoul Dynamics is a company that develops PBV products for performing tasks required in industrial sites. By combining autonomous and remote driving switching algorithms with autonomous driving control software (SW), V2X technology has been implemented. Modular design enables compatibility according to on-site situations without design or manufacturing special parts.


Seoul Dynamics has a lineup of PBV products for different purposes of mobility. According to the company, unmanned vehicles (AGV) and autonomous mobile robots (AMR) are classified into 10wK class (serving robot), 50wK class (unmanned passenger shuttle), 200kW class (electric vehicle and heavy equipment for passenger), and 400kW class (autonomous tractor). The company has completed the development of PBVs for 10wK class, 50wK class, and 200kW class. Its flagship product is E-CVP, a 200kW class mobility robot platform.



[기사 원문 링크(Article link)] :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412051529521280105258

유정화 기자 / 입력 : 2024.12.12 08:25:21